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656&local_id=10021102
한국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변천 과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변천 과정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숙희(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7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1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의 경우, 광복 후 교수요목을 정하여 고시한 이후 지금까지 여덟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면서, 각 교육과정기마다 그 교육과정에 준한 교과서를 편찬, 발행하여 국가의 근대화, 현대화에 크게 이바지하여왔다.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음에 반해 교과서 자체에 대한 통시적 관점의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교육 과정과 교과서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는 명제 하에 본 논문에서는 교수요목기 이후 2007년 개정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내용과 교과서의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져왔고 변화해왔는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외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수 방법론, 한국의 교과서 제도,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변화 양상이라는 세 가지 장(章)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그중, 교과서의 변화 양상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해보기 위해서는 각 교육과정기별로 두 권의 교과서를 선택, 총 14권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기술하고, 그 교과서들은 교육과정시기에 맞추어 각각 1-A, 1-B, 2-A, 2-B … 7-A, 7-B와 같이 분류하여 명명하고, 저자와 출판사, 출판연도 등의 상세정보는 외형적 체제 비교 항목에 명시할 것이다. 프랑스어 교과서를 분석한다고 했을 때는, 외국어 교육에 필요한 전 항목, 예를 들어 어휘, 발음, 철자, 문법, 문화 소개 등 적지 않은 항목들이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겠고, 또 다른 한편 언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네 가지 기능, 즉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의 교육을 위해 교과서가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또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살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층위의 분석을 한꺼번에 시도하는 일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고, 제2외국어로서 교육되는 프랑스어의 교과목적 특성상 문법 내용과 수준, 그리고 프랑스의 문화소개 내용에 우선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음을 밝힌다.
    어지러운 속도로 변화해가고 있는 새로운 21세기를 살고 있는 현 시점에서, 프랑스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지난 60여년간의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정리해보는 것은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사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작업일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결론을 대신하여 우선 교과서와 관련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영상세대의 흥미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보조자료들의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멀티미디어 친화적인 전자교과서 개발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수방법론과 외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흐름을 요약해보면, 문법 중심 교수요목 - 상황 중심 교수요목 - 개념 중심 교수요목 - 과업 중심 교수요목의 단계로 이행해왔음을 볼 수 있고 이 같은 보편적인 흐름 중 상황 중심 교수요목에 포함되는 직접 교수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한국에서도 그대로 수용되었으나, 적극적으로 방법론을 도입하여 교과서 제작에 반영한 교수 방법론은 전통 교수법과 청각-구두 교수법, 의사소통 접근법의 세 가지로 압축된다.
    이어서 문법 교육과 관련해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프랑스어 학습에서 요구되는 문법은 의사소통 기능 수행에 필요한 문법일 것이다. 언어 형태를 위주로 가르치는 문법에서 벗어나 언어 사용과 관련된 문법을 다루게 될 것이고, 그러한 맥락에서 문법 교육은 지식의 형태라기보다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설정하여 그에 필요한 표현들을 제시하고 연습하게 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에 대해 언급하자면, 문화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고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그 개념도 역동적으로 함께 변화해감으로, 개념정의 자체보다는 오히려 문화를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 정리해보는 작업도 함께 요구된다고 하겠다.
    방대한 문화 요소들을 아우르는 측면에서 한국과 프랑스 양국의 문화를 생각해 볼 때 두 문화의 차이는 일견 쉽게 좁힐 수 없는 평행선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새롭게 조성된 시청 앞 서울 광장이나 광화문 광장, 막걸리 누보 등의 예를 통해 보듯이 프랑스의 예를 상징적으로 benchmarking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와인과 치즈에 대한 관심이 부쩍 증가하고 있다. 그것이 위로부터의 변화이던
    아래로부터의 변화이던, 한국 문화와 프랑스 문화의 접목이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라는 희망을 갖게 하는 전조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다.
    프랑스어 교육의 위기를 통탄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에서, 위기를 탓하고 있을 것 만이 아니라 프랑스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한 사람 한 사람이 책임의식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제대로 된 프랑스 문화를 학생들에게 전달하기위해 늘 깨어있는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방법론, 문법, 문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