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우, 광복 후 교수요목을 정하여 고시한 이후 지금까지 여덟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면서, 각 교육과정기마다 그 교육과정에 준한 교과서를 편찬, 발행하여 국가의 근대화, 현대화에 크게 이바지하여왔다.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상대적으로 ...
한국의 경우, 광복 후 교수요목을 정하여 고시한 이후 지금까지 여덟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면서, 각 교육과정기마다 그 교육과정에 준한 교과서를 편찬, 발행하여 국가의 근대화, 현대화에 크게 이바지하여왔다.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음에 반해 교과서 자체에 대한 통시적 관점의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교육 과정과 교과서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는 명제 하에 본 논문에서는 교수요목기 이후 2007년 개정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내용과 교과서의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져왔고 변화해왔는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외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수 방법론, 한국의 교과서 제도,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변화 양상이라는 세 가지 장(章)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그중, 교과서의 변화 양상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해보기 위해서는 각 교육과정기별로 두 권의 교과서를 선택, 총 14권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기술하고, 그 교과서들은 교육과정시기에 맞추어 각각 1-A, 1-B, 2-A, 2-B … 7-A, 7-B와 같이 분류하여 명명하고, 저자와 출판사, 출판연도 등의 상세정보는 외형적 체제 비교 항목에 명시할 것이다. 프랑스어 교과서를 분석한다고 했을 때는, 외국어 교육에 필요한 전 항목, 예를 들어 어휘, 발음, 철자, 문법, 문화 소개 등 적지 않은 항목들이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겠고, 또 다른 한편 언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네 가지 기능, 즉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의 교육을 위해 교과서가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또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살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층위의 분석을 한꺼번에 시도하는 일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고, 제2외국어로서 교육되는 프랑스어의 교과목적 특성상 문법 내용과 수준, 그리고 프랑스의 문화소개 내용에 우선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음을 밝힌다.
어지러운 속도로 변화해가고 있는 새로운 21세기를 살고 있는 현 시점에서, 프랑스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지난 60여년간의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정리해보는 것은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사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작업일 것이다.